본문 바로가기
부동산/수도권

[신도시] 2기 신도시 정리 1 (feat. 판교, 위례)

by 스톡오버플로 2022. 6. 7.

2기 신도시노무현 정부 시절, 2000년대 초부터 시작된 집값의 상승에 대한 대응으로 참여정부의 주도로 2007년부터 사업이 본격화된 신도시로 수도권으로는 약 10개의 신도시가 존재한다.

추진배경


노태우 정부의 1기 신도시 정책으로 1990년대 중후반까지 집값은 안정화를 이루었고 1997년 말 외환위기로 폭락하였다. 그러다 2000년대 초부터 집값이 치솟기 시작한다. 그 이유는 김대중 정부가 외환위기 이후 침체된 건설경기를 살리기 위해 '규제 완화'중심의 부동산 정책을 펼쳤기 때문이다. 양도소득세 면제, 분양가 전면 자율화 부동산을 살리기 위한 정책들이 펼쳐졌다. 또 다른 이유로 저금리로 인하여 시장에 풀린 돈이 투자로 들어가야 하지만 외환위기로 인한 공포심에 부동산에 몰렸기 때문이다. 이와 더불어 대출규제 완화까지 버무러지며 폭등을 하게 된 것이다. 노무현 정부에서는 이를 막아보고자 수요만 억누르는 규제 정책을 펼치나 속수무책이었다. 결국 임기 중반에 2기 신도시 공급을 계획한다.


10개의 2기 신도시 (수도권 기준)


수도권에 세워진 10개의 2기 신도시의 위치주택공급수, 철도교통등을 살펴보자.

판교신도시


먼저, 성남시 분당구의 판교신도시이다. 판교신도시에는 분당구 백현동, 삼평동, 판교동, 운중동 등 4개의 동이 포함된다. 판교에는 2기 신도시 물량으로 2만 9250호의 주택이 공급되었다.


판교신도시 주민들이 광역교통시설부담금을 부담하여 신분당선이 건설되었다. 2016년 수도권 전철 경강선으로 환승이 가능하여졌으며, 최근 2022년 5월말 2호선 강남역까지가 마지막 노선이었으나 3호선인 신사역까지 연장되었다.

위례신도시


다음으로, 위례신도시를 살펴보자. 위례신도시는 송파구의 장지동과 거여동의 일부,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창곡동과 복정동의 일부, 하남시 학암동 일대에 조성된 2기 신도시이다. 위례에는 2기 신도시 물량으로 4만 6천 호의 주택이 공급되었다.


위례신도시 기반시설 부담금을 활용해 지하철 8호선남위례역2021년 12월 18일에 완공되었다.

현재 위례와 3호선 신사역을 연결하는 위례신사선 계통을 추진 중이다. 2021년 연말에 착공하여 2027년 12월 개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5호선의 마천역, 8호선과 수인분당선의 환승역인 북정역 8호선의 우남역과 연결되는 서울 경전철 위례선이 계통 예정이다. 이는 노면전차궤도를 이용하여 노면을 전용 또는 공용으로 주행하는 육상교통 수단을 말한다. 이는 2025년 9월까지 개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다음 편에는 이어서 광교신도시, 동탄 1 신도시, 동탄 2 신도시, 평택신도시를 살펴보자.


- 스톡오버플로 -

댓글